언제부턴가 대학교 내 대자보는 기업들의 홍보물로 가득 차게 됐고, 축제 때도 엄청난 돈을 들여 아이돌 그룹을 모셔오지 않으면 '장사'가 안 되는 상황이 현실이 되었다. 한때 학생들은 빈번하게 대자보로 자신의 의견을 말했고 축제나 동아리 연합 행사, 혹은 '문학의 밤' 같은 소소한 발표제 같은 이벤트를 통해 콘텐츠의 생산자로 자리매김했었다.
이제 대학 캠퍼스는 문화를 만들어내는 공간이 아니라 문화를 소비하는 곳, 아니 문화와 무관하게 취업준비에 집중해야 하는 공간이 된 것 같다. 비단 학교뿐일까. 담론을 생산하던 많은 지식인들도 어느덧 지식 도매상을 자처하거나 문화비평, 이를테면 음악평, 영화평, 서평에 몰두하는 모습도 이제는 자연스러울 정도로 익숙하다. 대중은 맛집 비평, 대기업 상품평에 자신의 노하우와 지식의 깊이를 내보이며 뛰어난 제품들의 간접 홍보자를 자처한다.
어느덧 그것이 우리가 우리의 가치를 보여주는 주된 행위가 되었다. 문화생산자는 치열한 자본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자본과 권력, 인프라가 갖춰져 있는 프로페셔널 영역에 국한되고, 그 영역에 들어가려면 천문학적 경쟁력을 뚫어야 할 뿐 아니라 들어가서도 '저녁이 없는 삶'을 담보로 한 야근과 노(오)력, 그리고 자신의 청춘을 바쳐야 한다. 그 청춘의 '녹'을 취한 후 그 안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이 보장된 콘텐츠(상품)만이 종국에는 살아남게 되고 선별된 양질의 최종 콘텐츠를, 피로사회 속 대중은 찬양하고 열광하며 잠시의 쉼을 얻는다.
신데렐라를 상상하면 월트 디즈니 만화의 최적화된 캐릭터가 떠오르고, 커피나 마카롱 등 기호 음식의 검색어만 쳐도 최고의 브랜드, 최고의 카페, 베이커리들을 찾아준다. 퀄리티 측면에서 조금만 어설퍼도 우리는 채널과 발걸음을 돌리고, 식당에서 뛰쳐나와 인터넷에 악평을 단다. 일상에서조차 생산자들을 '제로섬 게임'으로 내몰면서도, 머리 속으로만 책과 매체에서 듣는 '신자유주의 유령'을 비난한다. 솔직히 우리는 일상적으로 자본주의를 찬양하며 생산자들 간의 경쟁을 부추기며, 냉혹한 차별에 찬성하는 셈이다.
아이들 재롱잔치에서 내 아이의 어설픔은 감내해도, 남의 아이의 몸짓에는 하품을 하거나 슬쩍 자기 스마트폰을 켜댄다. 내가 구입한 제품의 하자는 고쳐서 쓰길 바란다기보다는 내 돈을 허비하게 만든 이 한심한 제품이 다시는 세상에서 발붙이지 못하게 되길 바란다.
그런 냉정함, 가혹한 기준 속에서 우리는 이미 콘텐츠를 생산해내던 행복한 '아마추얼리즘'을 잃었다.
이제 우리에겐 동네 교회나 작은 강당에서 밤늦은 저녁, 청춘 남녀가 모여 낭송하던 자작시나 클래식 기타를 뜯으며 화음을 맞추던 어설픈 듀엣곡들은 없다. 자신의 창의성을 뽐내기보다는 더 가혹한 오디션 프로그램이나 대가들의 콘텐츠를 즐기거나 비평하는 일에 안주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나 또한 자주 그 장단에 춤을 추다가도 가끔씩은 이런 일상이 얼마나 낯선 것인지를 떠올려본다. 한때 우리는 모두 아마추어였고 겁 없이 무대에 오르곤 했다. 서로를 글로벌 잣대로 냉정하게 평가하기보다는, 서로의 어설든 매력, 즉흥적 콘텐츠들에 빠져들었다. 그렇게 우리는 '하향 평준화'됐었지만 그런 사실마저도 즐거워했다. 물론 지금의 삶이 지옥 같다는 말은 아니지만, 가끔 어설프게 주변에서 만들어내던 콘텐츠들이 그립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두식 (2014. 3) (0) | 2021.03.11 |
---|---|
용팔이 (2014. 3) (0) | 2021.03.11 |
빛나는 엔지니어링 기법 3가지 (2013. 12) (0) | 2021.03.08 |
나는 커서 뭐가 될까 (2013. 12) (0) | 2021.03.07 |
'총알 배송'이고 나발이고 (2013. 11)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