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chive

관계의 문제 (2015. 7)

이건 좀 불편한 얘기일 수 있겠지만.

나는 연인과 부부, 가족의 문제는 당사자만이 알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한다고 어느 정도는 확신하고 있다. 살면서 그런 경우를 자주 접했기 때문이다. 정말로 피해자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순수한 피해자가 아닌 경우도 있고 반대로 가해자도 마찬가지였다.


일례로(물론 이건 가정이다) 아내와 내가 갈라설 경우 대략 10년간의 관계에서 아내가 서운했던 큰 몇 장면들을 추려서 공론화시킨다면 나는 금새 개쓰레기로 전락할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물론 그 반대도 성립될 것이다.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대략 명확한 선악구도가 그려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 명확한 선이 어떤 각도에서는 반전 지점으로 돌변하는 영역 또한 존재한다. 일례로 나는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안 좋은 기억들이 대체로 지배적이지만, 따지고 보면 아버지가 내게 특별히 악행을 저지른 구석은 없다. 오히려 긴 세월동안 아버지는 나에게 안락한 환경을 조성해 준 좋은 부모다. (좋은 남편이 아니었을 뿐.)


사실 우리가 자신의 사적 영역을 허물면서 받아들이는 일련의 관계에서는 이런 일들이 잦다. 사적 영역이 허물어지면 서로 간에 자신의 깊은 내면까지 무례하게 비집고 들어오는 것을 허용한다. 그게 '스킨십'이 됐건 '과한 농담'이 됐건 '무리한 책임을 지우는 상황'이 됐건 간에 말이다. (물론 폭행, 사기, 강간 등 극단적 범죄들은 해당되지 않는다)


물론 이런 관계에서 자주 권력구도가 발생하고 그럴 경우 '을'이 피해를 입는 일이 생긴다. 게다가 이런 관계가 지속될 경우 피해자가 자신이 피해를 입었음을 자각하지 못할 정도로 약해지기도 한다. 그럴 때는 분명 누군가의 도움이 요구되고 공론화가 필요하고 사회 구성원의 윤리적 판단이 개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너무 쉽게 타자들의 연인, 부부, 가족처럼 깊은 관계에 자신의 경험을 투사하여 단정짓고 누군가에게 객관적인 사실 이상의 혐의를 씌우고 가해자로 추정되는 사람에게 자신처럼 비판하지 않는다고 주변 사람들마저 한통속으로 몰아가는 반응들은, 적어도 내게는 꽤나 무례하고도 위험하게 느껴진다.


우리는, 대체로 약자의 편에 서는 용기를 발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공론의 장에 가해자로 추정되는 이가 서 있더라도 갑을 관계 외에 우리가 고려해야 할 당사자 간의 깊은 영역에 존재하는 진위 문제를 따져볼 생각의 여유가 필요하다. 언제나, 역사 속에서 매번 단정적인 사람들이 많은 실수를 범했다. 그리고 그것은 진영이나 권력구도를 초월한 영역이기도 했다.

...최근의 몇몇 사건을 보며 이런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