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션 프로그램의 원조격인 <아메리칸 아이돌>부터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너무나 보편화된 <슈퍼스타K>, <쇼미더머니>까지. 꽤나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면서 어렴풋이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좀 더 명확하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마도 '오디션 프로그램의 위너'들은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성공하지 못할 것 같다고 말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는 게, 마치 공평한 기회를 통해 지원자 중 가장 재능이 뛰어난 이를 발굴하는 값진 프로그램처럼 보이지만 정작 이 프로그램은 재능을 단기간에 고갈시키는 일종의 독약 같다고도 볼 수 있다.
우승자는 재능도 확인받고 상금도 받고 게다가 엔터테인먼트사와 계약까지 체결하는 '일타삼피'를 누리는 게 아니다. 몇 개월 동안 이뤄지는 살 떨리는 경합 속에서 개별 참가자는 자기 능력의 최고, 그 이상을 보여줘야 한다. 그 집중력 때문에 대중은 주목하고 프로그램은 매주 뜨겁게 달아오른다. 마치 불꽃놀이를 한 번에 터뜨리듯 그 순간은 다들 눈을 떼지 못하지만 이후에는 오히려 느슨한 속도나 작은 섬광에 열광하기가 쉽지 않다.
단적으로 말해, 오디션 프로그램은 숨은 재능인을 찾아내서 그의 전부를 몇 개월 안에 '전소'시키는 무서운 힘을 가졌다. 그 엄청난 에너지를 집중적으로 소비한 대중은, 대부분 그 이후에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본 참가자들에게 관심을 갖기가 어려워진다. 특히나 우승자나 상위 참가자들의 경우, 대중들은 마치 중견 연예인을 보듯 그의 모든 쇼맨십을 이미 다 겪은 듯한 착각마저 갖는다. 대중문화 속 연예인들은 재능뿐만 아니라 대중에게 어필하는 신선함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극한의 경쟁이 사라진 공간, 그리고 자신의 모든 재능을 전소해버린 무대에서 오디션 위너들이 경험해야 하는 이른 피로감, 무력감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우리가 자본주의 사회 안에서 관성적으로 누리는 즐거움 가운데에는, 상당히 악의적인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설령 우리가 의도하지 않았어도 때때로 그런 시스템들은 자동 기계 안에서 기어의 이빨들이 척척 물려 돌아가듯 너무도 자연스럽게 사람들을 망가뜨린다. 우리는 재능 있는 이들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박수갈채에 휩쓸려 채 무르익지도 않은 재능을 소진시켜야만 잠시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문득 그런 비관적인 생각이 들었다.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과 글, 그리고 속내에 관한2 (2014. 7) (0) | 2021.03.12 |
---|---|
목사 단상 (2014. 7) (0) | 2021.03.12 |
페북 단문들. (2014. 6) (0) | 2021.03.12 |
말과 글, 그리고 속내에 관한 (2014. 5) (0) | 2021.03.12 |
요즘 단.상. (2014. 5) (0) | 2021.03.12 |